728x90

 

🚻

이 주제에 관한 토의는 전에도 나왔으나 이번에 또 다시 들끓게 되어서 지극히 일반인적인,
하지만 또 디자이너적인 관점으로 써보려고 한다.

 

사건의 발단

 

남자 화장실과 여자 화장실의 픽토그램에 대한 논의다.

여자 화장실 픽토그램은 항상 치마를 입고 리본을 단다는 것에 성차별적이라는 의견의 목소리가 커졌었다.
그래서 인지 저 트윗 글에 좋다는 사람들 반, 반대하는 사람들 반이다.

 

일단 내 의견을 말하자면
저 화장실의 픽토그램은 그림문자로써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하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지극히 배제적인 디자인이다.

 

일단 픽토그램. 그림문자의 의미를 살펴보자면,

 

 

 

픽토그램

픽토그램은 그림을 뜻하는 picto와 전보를 뜻하는 텔레그램(telegram)의 합성어로 사물, 시설, 행위 등을 누가 보더라도 그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만들어진 그림문자입니다.

 

픽토그램은 언어가 달라서 소통에 불편함이 있는 외국인들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그림 하나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픽토그램은 공항이나 유명 관광지, 공공장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글씨보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것이 훨씬 빠른 경우에도 픽토그램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비상구 픽토그램은 긴급하게 도망쳐야 하는 상황에 아주 쉽게 읽을 수 있는 그림 문자이기 때문에 비상구로 정해진 장소에는 언제나 비상구 픽토그램을 볼 수 있습니다. 서점이나 백화점에 갔을 때 천장에 붙어있는 화장실 픽토그램을 보고 화장실이 어디에 있는지 금방 찾아갈 수도 있지요.

 

어떤 픽토그램은 그림의 모양새나 특징이 공식적으로 정해져 있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화장실, 식당, 지하철, 버스정류장 등의 픽토그램은 우리나라에서 정한 기준에 맞추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제 올림픽경기대회 종목을 의미하는 픽토그램은 국제표준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필요한 기준에 맞추어 스포츠 종목을 표현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정한 기준에 맞추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림의 모양새나 특징이 공식적으로 정해져 있기도 합니다우리나라의 화장실, 식당, 지하철, 버스정류장 등의 픽토그램은 우리나라에서 정한 기준에 맞추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제 올림픽경기대회 종목을 의미하는 픽토그램은 국제표준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필요한 기준에 맞추어 스포츠 종목을 표현해야 합니다.

 

이처럼 어떠한 장소나 의미를 가장 핵심적인 요소만을 뽑아 간단하게 그린 픽토그램을 사용하면 문자와 언어를 모르더라도
모든 사람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즉 특정 연령 계층만 알아봐서는 절대 안된다.

비장애인, 장애인 / 남자, 여자 / 어린이, 청년, 노인
전부 동일한 의미로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위의 사진 같은 경우에는 같은 라인, 같은 형태로 그려져있으나 컬러로 차별을 두었다.
글자를 가려본다면 알아볼 수 있을까?

 

 

 

 

이것 또한 사실 색상으로 주는 편견이다.

 

좋다고 말하는 이들은 치마를 입힌 형태가 사라져서 좋다고만 하는데,
이것 또한 컬러로 주는 성별편견이지 않은가? 여자는 핑크(레드지만.), 남자는 파랑.

 

즉 형태적 차별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는 이 픽토그램을 봤을 때 컬러로 여자 화장실/남자 화장실을 구분 해야한다.
치마를 없앴지만 여전하게 컬러로 고정관념을 고착화시킨다.

 

그리고, 컬러를 사용하지 않는 곳에 적용 된다면 어떻게 알아봐야하나?

 

 

채도와 명도차이만 있을 뿐 구분 불가능.

 

전혀 알아볼 수 없다.
컬러를 사용하지 못하는 곳엔 아예 쓰지도 못한다. 명도 차이로 누가 알아볼 수 있을까?

 

 

이 경우엔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세가지 활용 사례들은 배경을 채우거나 오브젝트를 채워서 시인성을 높였다.
이런 경우에는 스트로크로만 준 픽토그램은 전혀 맞지 못하다. 글씨와 두께가 비슷하기 때문에 글씨로 읽힐 확률이 높다.

 

그래서 바로 알아볼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색상을 보는데에 장애가 있으신 분들, 즉 색약이나 색맹인은 특정 색상이 보이지 않을텐데.
저 남녀 화장실 픽토그램은 완벽하게 색약, 색맹인을 배제한 그림문자이다.

 

누구 하나 못알아봐서는 안된다.
모두가 쉽게 알아볼 수 있고 이해 할 수 있어야 동등하게 시설물들을 이용 가능하다는 걸 얘기 하고 싶다.

 

이게 바로 유니버설 디자인이다.

 

 

 

유니버설 디자인

제품, 시설,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사람이 성별, 나이, 장애, 언어 등으로 인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흔히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 '범용디자인'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공공교통기관 등의 손잡이, 일회용품 등이나 서비스, 주택이나 도로의 설계 등 넓은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

 

저 픽토그램은 장애로 인해 이용하는 사람이 제약을 분명 받는다.
그리고 나이로 인해서도, 언어로 인해서도 불편을 겪는다. 오로지 젊은 청년층만 알아볼 수 있는 거다.

 

 

그리고 사용자 경험에 의한 디자인을 전혀 생각 하지 않았다. 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이라고 한다.

 

사용자 경험 디자인

미술 특정한 제품이나 서비스 따위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사용자 경험에 관련한 디자인.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 따위의 대상과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할 것인지를 고려하는 것을 말한다.

 

 

유명한 케첩, 두 제품의 차이점은 뭘까?

 

보통의 소스류들은 왼쪽의 오××사의 제품 모양처럼 생겼다. 근데 하××의 제품은 왜 뚜껑이 밑에 달렸으며 넓고 커다랄까?

하××에서는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 모양을 뒤바꾼 것이다.
케첩류는 유연한 액체가 아니라 점도가 있기 때문에 
오래 세워서 놔두면 한쪽으로 쏠린다.
그렇기 때문에 케첩을 한번씩 흔들어줘야 제대로 잘 나온다.

 

이러한 사용자의 편의를 생각해서 아예 입구쪽을 바닥처럼 놔둬서 흔들 일이 없도록, 바로 짜서 먹을 수 있도록 제품을 만든 거다.

 

만약 우리가 언어를 모르는 국가에 떨궈졌다. 휴대폰도 배터리가 나갔다. 말도 통하지 않는다.
그럴 때 화장실을 찾으려면 그림문자만이 우리가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픽토그램을 인식하고 찾아간다.
픽토그램 옆의 글은 몰라도 픽토그램은 화장실이라고 인식할 수 있으니까.

 

멀리 있는데 글은 잘 보이지 않을 때, 그림 문자를 먼저 인식하게 되는 것도 같다.
매번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기까이 갔다가 다른 시설물이면 헤매야한다.
노약자들은 특히 더더욱. 교통 표지판과도 같은 원리이다. 잘 보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UX 디자인에 집중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편의는 내가 들었던 사례만큼이나 중요하다.
우리가 만약 색약, 색맹이 있다면 / 언어를 아예 알아보지못한다면 / 멀리서 표지판이나 간판을 찾아야 한다면?

 

미적인 감각을 더하며 당장의 성별 차별을 벗겨낸 것 같아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라는 걸 말하고 싶다.

 

 

 

물론 브랜드 디자인의 일환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좋다며 성별편견이 사라졌다라는 의견에 반론하고 싶었을 뿐이었다.
사자로 하자거나 변기로 하자거나 유전자 알파벳으로 표시하자거나..
굉장히 많은 의견이 있는데 너무 말도 안되는 것들이 많아서 답답해서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써내렸다

 

Q. 암사자 숫사자로 하자

A. 공용 지정 되어있는 픽토그램들은 전부 사람을 표현한 그림들이며 이미 직관적이고 전부 받아들인다.
그래서 굳이 화장실 남녀 구분을 사자로 공용 지정할 이유가 없다.
동물원 화장실이나 사자 관련 박물관, 어린이 테마파크라면 모를까.

 

Q. 변기로 하자

A. 변기 모양으로 어떻게 여성 화장실 남성 화장실을 구분할 것인가?
성중립 화장실과 공용 화장실 말고도 가능한가? 디테일들이 필요할텐데 직관적이지 못하고 복잡하다.

 

Q. 유전자 알파벳으로 하자

A. 그림 문자의 의미가 아예 사라진다. 글씨일 뿐이다. 그리고 어린 아이들과 노인들은 배제되어버린다. 문맹도.

 

 

당장에 나온 의견들은 결과까지 가기엔 너무 안맞는 아이디어들이 많다.
그래서 좀 더 좋은 아이디어가 고리타분하고 편견 가득한 여성 픽토그램을 대신할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다.

 

 

 

728x90